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384)
연산자 (복합 대입 연산자) 복합 대입 연사자란? 대입 연산자와 다른 연사자가 함께 쓰이는 것 = +, -, * ,% +=, -=, *=, %= 복합 대입 연산자는 대입 연산자 앞에 연산자를 작성해주어야 한다! n1 = n1 + 10; -> 을 간단하게 n1 += 10; 으로 표현할 수 있다 반복 연습
연산자(증감, 감소) 단항 연산자 변수의 값을 오직 1 더하거나 1 뺄때 사용 연산자가 항의 앞에 있는가 뒤에 있는가에 따라 연산 시점과 결과가 달라짐 문장(statement)의 끝(;)을 기준으로 연산 시점을 생각해야 함 int value 1 = 1; ++value1; value1++; 파란색, 보라색 둘다 출력해도 값 증감 But !!!! 빨간색 박스 resultData = intData++; System.out.println(resultData); 를 출력하면 값이 +1이 되지 않고 intData1에 담긴 10의 값이 그대로이다. 왜냐? 오른쪽에서 식이 흘러가기 때문에 ++를 먼저 읽고 intData1의 값을 읽기 때문에 값이 그대로. 이걸 후의 연산자라고 한다. 보라색 박스 resultData2 = ++intData2..
연산자 (산술) 산술 연산자란? double 을 사용하면 소수점까지 나오는데 선언할 때 double result4 = 5.0 / 3; 즉 숫자에도 소수점까지 입력해줘야 값도 소수점까지 나옴
연산자 (항, 대입, 부호) 항 (Operands)과 연산자(Operators) 연산 과정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값이나 값을 항 (Operands) 이라고 한다. 하나 이상의 항을 사용하여 특정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를 연산자 (Operators) 라고 한다. 대입 연산자 (Assignment Operator) : = 대입 연산자는 특정 값이나 다른 변수의 결과를 변수에 할당(대입)하는 데 사용된다. 대부분의 이항 연산자 중에서 실행 우선순위가 가장 낮아서, 대부분의 연산이 이루어진 후에 마지막으로 값이 할당된다. (연산에 순서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) 기본 형태는 왼쪽 변수 = 오른쪽 표현식(값, 변수, 또는 계산식) 부호 연산자 : +, - 부호 연산자는 변수의 부호를 변경하거나 유지하는 단항 연산자이. 연산자는 변수의 부호를 그대로..
명령어를 통한 컴파일 실행 D: 드라이브 안에 있는 workspace - java - teco_java - src - basic - ch02 안에 있는 Constant.java 컴파일을 하려고 한다. 검색창에 cmd 검색 후 명령 프롬프트 실행하기 명령 프롬프트 실행하니 c드라이브로 되어 있어서 d드라이브로 이동시키기 -> d: cd D:\workspace\java\teco_java\src\basic\ch02 -> 이 파일 경로로 이동하겠다 javac Constant.java 를 검색하면 이렇게 오류가 발생한걸 인코딩으로 컴파일하기! javac -encoding UTF-8 Constant.java java Constant.java 하면 파일 컴파일 완료! cd D:\workspace\java\teco_java\src\basic\c..
형 변환 ( Type Casting ) 형 변환 (type casting)이란?프로그래밍에서 하나의 데이터 타입을 다른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한다.형변환은 크게 두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암시적 형변환, 명시적 형변환으로 나눈다.작은 상자에서 큰 상자로 가는건 자동 형 변환큰 상자에서 작은 상자로 가는건 강제 형 변환인데 이때 데이터 손실 발생 가능!예제1당신은 전자 상거래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으며, 특정 제품에 대해 할인 행사를 진행하려고 합니다. 제품의 원래 가격은 59.99달러이고, 30% 할인을 적용하려고 합니다. 최종 가격을 계산한 후,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 부분만을 가격으로 표시하려고 합니다.제품의 원래 가격과 할인율을 상수로 선언하십시오.할인된 가격을 계산하고, 그 결과를 정수로 형변환..
상수 ( Constant )와 리터럴 ( Literal ) 상수 (Constant)란?변하지 않는 수, 반드시 값이 초기화 되어야 하고 한 번 초기화 되면 변경할 수 없게 하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.이 특징 때문에 원주율(3.14), 1년(12개월), 최대 사용 가능자의 수 등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.final로 상수 선언 --> 값이 한번 정해지면 변경할 수 없는 수(값, 데이터)final 상수를 사용할 때는 대문자사용리터럴 (Literal)이란?프로그래밍에서는 상수를 값을 한 번 저장하면 변경 할 수 없는 저장공간으로 정의하였기 때문에 이와 구분하기 위해 상수를 다른 이름으로 불러야 하는데 이때 상수대신 리터럴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.
데이터 타입(논리형) 논리 자료형 논리 자료형은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타입 중 하나로, 논리적인 참(true)과 거짓(false)을 표현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불리언(Boolean)이라고도 불린다. 이러한 논리 자료형은 주로 조건문, 반복문 및 논리 연산과 같은 논리적인 연산에 사용된다. 논리 자료형 예시

728x90